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Alarm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소개
소식
공지사항
투명성
뉴스룸
활동
주요활동
대기교통
한강복원
도시생태
도시농업
자원순환
기후위기
대안에너지
도시 숲 조성
후원
후원 안내
회원 정보 수정
닫기
사이트 로고
소개
소식
공지사항
투명성
뉴스룸
활동
주요활동
대기교통
한강복원
도시생태
도시농업
자원순환
기후위기
대안에너지
도시 숲 조성
후원
후원 안내
회원 정보 수정
icon
icon
icon
site search
사이트 로고
site search
MENU
기후위기
기후위기,
석탄전기를 멈춰라
Scroll Down
기후위기
기후위기,
석탄전기를 멈춰라
Scroll Down
목표
국가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 석탄발전 중단을 통해 배출제로를 실현하며, 에너지자립도시 서울을 위한 시민행동을 펼칩니다.
첫 번째 문제점
과거 100년간 인간의 화석연료 사용으로 지구평균온도가 1도 상승했으며, 지금의 기후위기는 폭염, 폭우, 한파, 산불 등의 극심한 재난으로 인간의 삶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문제점
기후위기 일으키는 주범, 석탄화력발전소는 국내 전체 온실가스 중 약 30%에 달하는 양을 배출하고 있어 석탄 전기를 끊어내지 않는다면 기후위기를 막아낼 수 없습니다.
세 번째 문제점
2030년 온실가스 배출 50% 감축, 2050년 탄소중립을 해야 하지만,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7기가 모두 지어지고 수명 연한까지 가동되면 2054년에 이르러야 비로소 한국은 탈석탄 할 수 있습니다.
네 번째 문제점
서울은 에너지 생산보다 사용을 주로 하는 에너지 소비도시입니다. 2020년 기준 서울시 전력 자립률은 10% 수준이었고, 나머지 90%는 모두 타지역에서 생산하여 서울로 보내주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 문제점
대도시 전기를 감당하기 위해 현재 지역에는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7기, 초고압 송전탑, 송전선로가 건설되고 있어, 지역간 에너지 불평등 문제가 심화됩니다.
요구사항
석탄화력발전을 중단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시작하여야 합니다. 서울 곳곳에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설치하고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시작하여, 서울을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에너지전환·자립도시로 만들어야 합니다.
활동내용
석탄화력발전 중단 및 탈탄소를 위한 다양한 정책 제안과 국내외 연대활동을 하고 있으며, 동네방네 기후액션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시민참여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2015년
CO₂다이어트서포터즈, CO₂캠페인
2018년
에너지시민활동가 양성교육 에너지시민대학 운영
2019년
서울 탈석탄 금고지정 촉구
2019년
개문냉방영업 중단, 에너지 절약 촉구 기자회견
2020년
국회 ‘석탄발전 퇴출법’ 제정 촉구
2020년
동네방네기후액션 총선캠페인
2021년
서울시 탈석탄금고 촉구
성과
2015년
CO₂다이어트 청년서포터즈 발족
2020년
서울시교육청 탈석탄 금고 조례 개정
2020년
국회 기후위기비상상황 결의문 채택
2020년
한국 2050 탄소중립 선언
2021년
서울시 탈석탄 금고 조례 개정
시민들의 목소리가 2050 탄소중립 선언을 이끌어냈습니다. 기후행동에 함께 동참하는 기후시민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목표
국가 온실가스 배출을 감축하고, 석탄발전 중단을 통해 배출제로를 실현하며, 에너지자립도시 서울을 위한 시민행동을 펼칩니다.
첫 번째 문제점
과거 100년간 인간의 화석연료 사용으로 지구평균온도가 1도 상승했으며, 지금의 기후위기는 폭염, 폭우, 한파, 산불 등의 극심한 재난으로 인간의 삶을 위협하고 있습니다.
두 번째 문제점
기후위기 일으키는 주범, 석탄화력발전소는 국내 전체 온실가스 중 약 30%에 달하는 양을 배출하고 있어 석탄 전기를 끊어내지 않는다면 기후위기를 막아낼 수 없습니다.
세 번째 문제점
2030년 온실가스 배출 50% 감축, 2050년 탄소중립을 해야 하지만,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7기가 모두 지어지고 수명 연한까지 가동되면 2054년에 이르러야 비로소 한국은 탈석탄 할 수 있습니다.
네 번째 문제점
서울은 에너지 생산보다 사용을 주로 하는 에너지 소비도시입니다. 2020년 기준 서울시 전력 자립률은 10% 수준이었고, 나머지 90%는 모두 타지역에서 생산하여 서울로 보내주고 있습니다.
다섯 번째 문제점
대도시 전기를 감당하기 위해 현재 지역에는 신규 석탄화력발전소 7기, 초고압 송전탑, 송전선로가 건설되고 있어, 지역간 에너지 불평등 문제가 심화됩니다.
요구사항
석탄화력발전을 중단하고 기후위기 대응을 시작하여야 합니다. 서울 곳곳에 재생에너지 발전소를 설치하고 기후위기 대응 정책을 시작하여, 서울을 기후위기에 대응하는 에너지전환·자립도시로 만들어야 합니다.
활동내용
석탄화력발전 중단 및 탈탄소를 위한 다양한 정책 제안과 국내외 연대활동을 하고 있으며, 동네방네 기후액션 등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시민참여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2015년
CO₂다이어트서포터즈, CO₂캠페인
2018년
에너지시민활동가 양성교육 에너지시민대학 운영
2019년
서울 탈석탄 금고지정 촉구
2019년
개문냉방영업 중단, 에너지 절약 촉구 기자회견
2020년
국회 ‘석탄발전 퇴출법’ 제정 촉구
2020년
동네방네기후액션 총선캠페인
2021년
서울시 탈석탄금고 촉구
성과
2015년
CO₂다이어트 청년서포터즈 발족
2020년
서울시교육청 탈석탄 금고 조례 개정
2020년
국회 기후위기비상상황 결의문 채택
2020년
한국 2050 탄소중립 선언
2021년
서울시 탈석탄 금고 조례 개정
시민들의 목소리가
2050 탄소중립 선언을 이끌어냈습니다.
기후행동에 함께 동참하는
기후시민이 되어주세요.
후원하기
문의하기
SNS
캠페인 기부
관련 페이지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전 홈페이지
© 2021 Seoul KFEM. All Rights Reserved.
문의하기
© 2021 Seoul KFEM. All Rights Reserved.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이전 홈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