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야, 너를 사용하려면 데이터센터가 엄청난 에너지를 쓴다던데, 이게 맞아?

맞아요. 데이터를 처리하고 저장하는데 필요한 데이터센터는
24시간 365일 쉼없이 돌아가며 엄청난 전기를 필요로해요.
그렇게 국내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는데 핵발전소 2기분량의 전기를 사용했어요.

그 많은 전력이, 다 어디에서 오는 거야?

제 몸에는 흐르는 전기는 석탄 31.4%, 가스 26.8%
원자력 30.7%, 신재생에너지 9.6%로 구성됐어요.
대부분 석탄이나 가스와 같은 화석연료를 태워 만든 전력이에요.
이대로 AI 사용이 늘어나면 온실가스를 더 많이 배출하게 되겠죠.

AI와 데이터센터는 막대한 에너지 소비로 기후위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대기업들은 가장 큰 에너지 소비자로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재생에너지 전환을 이끌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카카오, 네이버, SKT, KT 등 주요 기업들은 RE100과 탄소중립을 선언했지만, 실제로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은 대부분 10%에 미치지 못합니다.

AI와 데이터센터는 현대 산업의 중심에 있지만,
막대한 에너지 소비로 기후위기에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카카오, 네이버, SKT, KT 등 주요 기업들은
RE100과 탄소중립을 선언했지만,
실제로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은 대부분 10%에 미치지 못합니다.

대기업들은 가장 큰 에너지 소비자로서,
실질적인 변화를 만들어
재생에너지 전환을 이끌어야 할 책임이 있습니다. 

8.6%

SKT

6.96%+

LG U+

3.3%

카카오

3.1%

네이버

1.1%

KT

 출처: 기업 ESG 보고서 또는 지속가능보고서
모든 보고서는 2023년12월까지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일부는 2024년 상반기 데이터를 포함함. 과거 데이터는 3개년을 기준으로 함

주요 기업
재생에너지 사용 비율

8.6%

SKT

6.96%

LG U+

3.3%

카카오

3.1%

네이버

1.1%

KT

 출처: 기업 ESG 보고서 또는 지속가능보고서
모든 보고서는 2023년12월까지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일부는 2024년 상반기 데이터를 포함함. 과거 데이터는 3개년을 기준으로 함



인공지능(AI)을
움직이는 심장
데이터센터
인공지능(AI)이 똑똑해지고, 사용이 늘어날수록 더 많은 데이터센터가 만들어지고, 더 많은 전기를 필요로 합니다. 2029년 기준 732개의 데이터센터가 약 50GW 전력을 필요로합니다. (핵발전소 53기 분량)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운영에 필요한 전력의 대부분 석탄과 가스, 핵발전소에서 생산됩니다. 이는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환경을 파괴합니다.

수도권이 감당할 수 없는 전력 수요
수도권에 데이터센터의 수요 70% 몰리지만 2022년 기준 서울이 사용한 전기 중 8.9%만이 서울에서 만들어졌고, 경기도는 61%만을 직접 생산했습니다. 전력수요 대책없이 늘어나는 수도권 데이터센터는 지역불평등과 갈등을 유발하고, 막대한 비용과 환경파괴를 발생시킵니다.

mobile background

인공지능(AI)을 움직이는 ‘심장’ 데이터센터
인공지능(AI)이 똑똑해지고, 사용이 늘어날수록 더 많은 데이터센터가 만들어지고, 더 많은 전기를 필요로 합니다. 2029년 기준 732개의 데이터센터가 약 50GW 전력을 필요로합니다. (핵발전소 53기 분량)

mobile background

온실가스를 배출하는
인공지능(AI)
데이터센터의 운영에 필요한 전력의 대부분 석탄과 가스, 핵발전소에서 생산됩니다. 이는 더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하며, 환경을 파괴합니다.

mobile background

수도권이 감당할 수 없는 전력 수요
수도권에 데이터센터의 수요 70% 몰리지만 2022년 기준 서울이 사용한 전기 중 8.9%만이 서울에서 만들어졌고, 경기도는 61%만을 직접 생산했습니다. 전력수요 대책없이 늘어나는 수도권 데이터센터는 지역불평등과 갈등을 유발하고, 막대한 비용과 환경파괴를 발생시킵니다.

그럼 당장 뭘 해야 해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기후위기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중요한 방법입니다.
기업들이 더 많은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고, 
에너지효율이 높은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도록
요구해주세요. 



우리들의 서명이
큰 변화를 만들 수 있을까요?
그렇습니다. 서명은 우리의 의지를 모으는 강력한 수단입니다. 많은 사람들이 한목소리로 재생에너지 전환을 요구한다면 기업은 이를 무시할 수 없습니다. 변화는 늘 행동에서 시작됩니다. 이 서명은 기후위기를 해결하기 위한 중요한 움직임의 시작점이 될 것입니다.

함께 만드는 변화
재생에너지 전환 서명에
참여하세요
 
  • 요구1
    데이터센터의 사용전력을 재생에너지로 전환할 것을 요구합니다.
  • 요구2
    데이터센터의 전력소비를 줄이기 위한 높은 에너지효율 목표를 요구합니다. 

그럼 당장 뭘 해야 해요?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은 기후위기의 에너지 문제를 해결할 중요한 방법입니다.
기업들이 더 많은 재생에너지를 사용하고, 
에너지효율이 높은 데이터센터를 운영하도록 요구해주세요. 

--

5대 기업에게 묻습니다
재생에너지로 데이터센터를 바꿀 준비가 되었나요?

네이버
네이버는 ‘2040 Carbon Negative' 전략을 통해 2030년 온실가스 60% 감축, 2040년 10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RE100 이니셔티브에 참여 중입니다. 사옥과 데이터센터에 태양광·지열 설비를 구축하고, 엔라이튼(2022년, 태양광)과 한국수자원공사(2023년, 소수력)와의 PPA 계약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추가적인 자가 설비 확충과 PPA 계약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용을 지속적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카카오
카카오는 2030년 재생에너지 60%사용 , 2040년 Net Zero 달성을 목표로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2023년 5월에는 RE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하여 RE100 기준에 따른 재생에너지를 조달하고 목표를 이행하고자 합니다. 2022년 제주 사옥 100% 재생에너지 전환을 시작으로 재생에너지 조달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지역사회와 상생하기 위해 시민 참여형 에너지 협동조합인 ‘경기에너지협동조합’과 협력하며 조달 받고 있습니다. 카카오의 첫번째 데이터센터인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은 친환경 데이터센터로 설계 및 시공하였으며, 외벽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재생에너지를 직접 생산/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절감과 냉각전력효율 향상을 위해 고효율 설비와 절감 기술을 도입하며 기존 데이터센터 대비 약 30% 에너지사용량 감축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SKT
서명을 통해 SKT에게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요구하세요. 우리의 목소리가 힘이 됩니다.

LG U+
서명을 통해 LG U+에게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요구하세요. 우리의 목소리가 힘이 됩니다.

KT
서명을 통해 KT에게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요구하세요. 우리의 목소리가 힘이 됩니다.

5대 기업에게 묻습니다
재생에너지로 데이터센터를 바꿀 준비가 되었나요?

네이버
네이버는 ‘2040 Carbon Negative' 전략을 통해 2030년 온실가스 60% 감축, 2040년 100% 감축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RE100 이니셔티브에 참여 중입니다. 사옥과 데이터센터에 태양광·지열 설비를 구축하고, 엔라이튼(2022년, 태양광)과 한국수자원공사(2023년, 소수력)와의 PPA 계약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용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추가적인 자가 설비 확충과 PPA 계약을 통해 재생에너지 사용을 지속적으로 늘릴 계획입니다.

카카오
카카오는 2030년 재생에너지 60%사용 , 2040년 Net Zero 달성을 목표로 온실가스 감축을 추진 중에 있습니다. 이를 위해 2023년 5월에는 RE100 이니셔티브에 가입하여 RE100 기준에 따른 재생에너지를 조달하고 목표를 이행하고자 합니다. 2022년 제주 사옥 100% 재생에너지 전환을 시작으로 재생에너지 조달을 지속적으로 확대하고 있으며, 이 중 일부는 지역사회와 상생하기 위해 시민 참여형 에너지 협동조합인 ‘경기에너지협동조합’과 협력하며 조달 받고 있습니다. 카카오의 첫번째 데이터센터인 ‘카카오 데이터센터 안산’은 친환경 데이터센터로 설계 및 시공하였으며, 외벽에 태양광 패널을 설치하여 재생에너지를 직접 생산/활용하고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절감과 냉각전력효율 향상을 위해 고효율 설비와 절감 기술을 도입하며 기존 데이터센터 대비 약 30% 에너지사용량 감축을 기대하고 있습니다.

SKT
서명을 통해 SKT에게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요구하세요. 우리의 목소리가 힘이 됩니다.

LG U+
서명을 통해 LG U+에게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요구하세요. 우리의 목소리가 힘이 됩니다.

KT
서명을 통해 KT에게 지속 가능한 에너지 전환을 요구하세요. 우리의 목소리가 힘이 됩니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서울환경연합과 함께해주세요!
더 나은 세상을 만들기 위해, 서울환경연합과 함께해주세요!


© 2021 Seoul KFE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