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Alarm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후원
정기후원하기
정기후원 안내
모두의 기념일
회원정보 수정
소개
소식
공지사항
투명성
뉴스룸
활동
주요활동
사람 중심 교통
생물다양성
에너지 자립
건강한 물 순환
쓰레기 없는 서울
도시 숲 조성
이슈
나의 나무일지
신촌 연세로를 지켜주세요
전자제품, 사수하자
온전한 용산 생태평화공원
마이 올디 벗 구디
반려식물 자랑대회
플라스틱방앗간↗
닫기
사이트 로고
후원
정기후원하기
정기후원 안내
모두의 기념일
회원정보 수정
소개
소식
공지사항
투명성
뉴스룸
활동
주요활동
사람 중심 교통
생물다양성
에너지 자립
건강한 물 순환
쓰레기 없는 서울
도시 숲 조성
이슈
나의 나무일지
신촌 연세로를 지켜주세요
전자제품, 사수하자
온전한 용산 생태평화공원
마이 올디 벗 구디
반려식물 자랑대회
플라스틱방앗간↗
icon
icon
icon
site search
사이트 로고
site search
MENU
에너지 자립
태양으로 빛나는
서울
Scroll Down
에너지 자립
태양으로 빛나는
서울
Scroll Down
목표
기후위기 시대 시민과 함께하는 재생에너지 확대로 에너지 전환을 넘어 에너지 자립의 지속가능한 서울을 만듭니다.
첫 번째 문제점
지구의 온도상승으로 인해 폭염과 한파, 폭우 등의 기후재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후재난은 폭우로 인한 반지하의 침수와 같이 사회적 약자에게 더욱 취약합니다.
두 번째 문제점
기후위기 주범 석탄화력발전소의 신규 석탄발전소의 중단 없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의 달성은 정부의 그린워싱입니다. 이제 화석연료와의 작별해야 합니다.
세 번째 문제점
핵폐기물의 처리방안 없는 원자력발전소는 더 이상 싸지도 안전하지도 않습니다. 원자력발전소는 기후위기 시대 대안이 될 수 없습니다.
네 번째 문제점
서울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10%만이 서울에서 생산됩니다. 나머지 90%의 전기는 다른 지역의 환경과 건강 그리고 공동체를 파괴하며, 고통 속에서 만들어집니다.
다섯 번째 문제점
서울은 기후위기 시대, 탄소중립을 이야기하지만 주차장, 건물옥상 등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유효공간을 정치와 가짜뉴스로 인해 활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서울에 짓지 못하는 발전소를 지역에 강요할 수 없습니다. 재생에너지 도입을 의무화하고, 기후위기 시대 에너지절약 정책을 통해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해야합니다.
활동내용
탈석탄, 탈핵을 위한 정책제안과 석탄과 핵발전소가 지어진 지역과의 연대를 통해 석탄발전과 원자력발전의 문제점를 알려나갑니다.
2012년
‘우리는 핵 없는 세상을 희망한다’ 결의
2015년
기억의 탈핵의자 캠페인
2015년
CO2 다이어트서포터즈 CO2 캠페인
2017년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서울행동
2018년
에너지시민활동가 양성교육 에너지시민대학 운영
2019년
서울 탈석탄 금고지정 촉구, 기후위기 비상행동
2020년
국회 석탄발전 퇴출법 제정 촉구
2021년
포스코, 삼성 신규 석탄발전건설 기업규탄 행진
2022년
9월 기후정의행진 서울 기획 및 참여
성과
2012년
우리동네햇빛발전소협동조합 설립
2013년
삼각산고 햇빛발전소 1호기 준공
2014년
한신대햇빛발전소 2호기 준공
2015년
영덕 핵발전소 유치찬반 주민투표 성사
2016년
광진햇빛발전소 3호기 준공
2017년
월성1호기 수명연장 무효소송 승소
2020년
서울시교육청 탈석탄금고 조례제정
2020년
국회 기후위기비상상황 결의문 채택, 한국 2050 탄소중립 선언
2021년
서울시 탈석탄금고 조례개정
2022년
탈석탄법 입법촉구 5만명 달성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탈원전 사회로의 실현을 위해 함께 해주세요.
후원하기
목표
기후위기 시대 시민과 함께하는 재생에너지 확대로 에너지 전환을 넘어 에너지 자립의 지속가능한 서울을 만듭니다.
첫 번째 문제점
지구의 온도상승으로 인해 폭염과 한파, 폭우 등의 기후재난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기후재난은 폭우로 인한 반지하의 침수와 같이 사회적 약자에게 더욱 취약합니다.
두 번째 문제점
기후위기 주범 석탄화력발전소의 신규 석탄발전소의 중단 없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의 달성은 정부의 그린워싱입니다. 이제 화석연료와의 작별해야 합니다.
세 번째 문제점
핵폐기물의 처리방안 없는 원자력발전소는 더 이상 싸지도 안전하지도 않습니다. 원자력발전소는 기후위기 시대 대안이 될 수 없습니다.
네 번째 문제점
서울에서 사용하는 전기의 10%만이 서울에서 생산됩니다. 나머지 90%의 전기는 다른 지역의 환경과 건강 그리고 공동체를 파괴하며, 고통 속에서 만들어집니다.
네 번째 문제점
서울은 기후위기 시대, 탄소중립을 이야기하지만 주차장, 건물옥상 등 태양광발전이 가능한 유효공간을 정치와 가짜뉴스로 인해 활용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서울에 짓지 못하는 발전소를 지역에 강요할 수 없습니다.
재생에너지 도입을 의무화하고, 기후위기 시대 에너지절약 정책을 통해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해야 합니다.
활동내용
탈석탄, 탈핵을 위한 정책제안과 석탄과 핵발전소가 지어진 지역과의 연대를 통해 석탄발전과 원자력발전의 문제점을 알려나갑니다.
2012년
‘우리는 핵 없는 세상을 희망한다’ 결의
2015년
기억의 탈핵의자 캠페인
2015년
CO2 다이어트서포터즈 CO2 캠페인
2017년
신고리 5,6호기 백지화 서울행동
2018년
에너지시민활동가 양성교육 에너지시민대학 운영
2019년
서울 탈석탄 금고지정 촉구, 기후위기 비상행동
2020년
국회 석탄발전 퇴출법 제정 촉구
2021년
포스코, 삼성 신규 석탄발전건설 기업규탄 행진
2022년
9월 기후정의행진 서울 기획 및 참여
성과
2012년
우리동네햇빛발전소협동조합 설립
2013년
삼각산고 햇빛발전소 1호기 준공
2014년
한신대햇빛발전소 2호기 준공
2015년
영덕 핵발전소 유치찬반 주민투표 성사
2016년
광진햇빛발전소 3호기 준공
2017년
월성1호기 수명연장 무효소송 승소
2020년
서울시교육청 탈석탄금고 조례제정
2020년
국회 기후위기비상상황 결의문 채택, 한국 2050 탄소중립 선언
2021년
서울시 탈석탄금고 조례개정
2022년
탈석탄법 입법촉구 5만명 달성
안전하고 지속가능한 미래,
탈원전 사회로의 실현을 위해
함께 해주세요.
후원하기
정기후원하고
서울환경연합 회원 되기
정기후원하고
서울환경연합 회원 되기
문의하기
SNS
캠페인 기부
관련 페이지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 2021 Seoul KFEM. All Rights Reserved.
문의하기
© 2021 Seoul KFEM. All Rights Reserved.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