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
뒤로
알림 설정
뒤로
더보기
게시물 알림
내 글 반응
내가 작성한 게시물이나 댓글에 다른 사람이 댓글이나 답글을 작성하면 알려줍니다.
공지사항
사이트에서 보내는 중요한 공지를 실시간으로 알려줍니다.
Alarm
마이페이지
로그아웃
후원
정기후원하기
정기후원 안내
모두의 기념일
회원정보 수정
소개
소식
공지사항
투명성
뉴스룸
활동
주요활동
사람 중심 교통
생물다양성
에너지 자립
건강한 물 순환
쓰레기 없는 서울
도시 숲 조성
이슈
나의 나무일지
신촌 연세로를 지켜주세요
전자제품, 사수하자
온전한 용산 생태평화공원
마이 올디 벗 구디
반려식물 자랑대회
플라스틱방앗간↗
닫기
사이트 로고
후원
정기후원하기
정기후원 안내
모두의 기념일
회원정보 수정
소개
소식
공지사항
투명성
뉴스룸
활동
주요활동
사람 중심 교통
생물다양성
에너지 자립
건강한 물 순환
쓰레기 없는 서울
도시 숲 조성
이슈
나의 나무일지
신촌 연세로를 지켜주세요
전자제품, 사수하자
온전한 용산 생태평화공원
마이 올디 벗 구디
반려식물 자랑대회
플라스틱방앗간↗
icon
icon
icon
site search
사이트 로고
site search
MENU
건강한 물 순환
한강은
흘러야 한다
Scroll Down
건강한 물 순환
한강은
흘러야 한다
Scroll Down
목표
단절된 한강의 자연성을 회복하고, 서울 곳곳 실핏줄처럼 연결된 하천을 복원하여, 생명이 흐르고 다앙한 생물이 깃드는 한강으로 되살아 나도록 노력합니다.
첫 번째 문제점
도시화와 고밀도 개발로 물길은 막혔고 땅에는 물이 스미지 않게 되었습니다. 물순환이 왜곡된 서울에 홍수, 폭우, 폭염 등 기후 재난은 더욱 위협적입니다.
두 번째 문제점
콘크리트 호안 건설로 숲과 하천의 연결이 끊어졌고, 신곡수중보와 잠실수중보는 서울의 동서를 흐르는 한강을 단절했습니다.
세 번째 문제점
서울 곳곳 실핏줄처럼 연결된 하천은 대부분 복개되거나 고가도로로 활용되어, 생명이 숨 쉬지 못하는 곳이 되었습니다.
네 번째 문제점
하천 및 강변에 체육시설과 자전거 도로 등 친수공간을 밀집 조성하면서, 새화 양서·파충류 등 물가에서 살아가는 동·식물 서식지가 상당 부분 훼손하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물이 흘러야 생명이 흐릅니다. 서울 곳곳을 흐르는 30여개의 지천을 복원해 자연성을 회복하여야 합니다. 물순환을 왜곡하는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를 걷어내고 물이 흘러 생명이 넘치는 도시가 되어야 합니다.
활동내용
신곡수중보 철거 등 한강 복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 제안 활동, 철새보호구역 등 하천의 보호구역의 생물 서식지 보전을 위한 조사 및 연구활동, 각종 하천 개발사업 및 예산 감시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2009년
한강운하백지화서울행동
2014년
구리친수구역조성사업전면백지화를위한경기서울인천지역공동대책위원회
2015년
한강유역네트워크 사무국 운영
2016년
강천보~신곡보 한강 녹조 수질조사
2018년
신곡수중보 시민모니터링단
2019년
한강신곡수중보철거시민행동 사무국 발족 및 신곡보 철거 촉구 1인시위
2020년
안양천철새보호구역시민조사단
2022년
철새보호구역 시민조사단 운영
2022년
시민과학자 양성과정 운영
성과
2010년
한강르네상스 2단계 사업 백지화
2015년
한강유역네트워크 발족
2017년
5대강유역협의회 창립
2018년
여의도 통합선착장 개발 백지화
2018년
서울시 신곡수중보 개방 결정(미이행)
2019년
한강중심의신도시재생전략계획 백지화
2019년
중랑천 마스터플랜 中 도류제 사업 백지화
2019년
구리친수구역 조성사업 중단
2022년
2022 철새보호구역 시민조사단 결과 공유회
생명이 흐르는 한강, 다양한 생물이 깃드는 물순환 도시 서울이 되도록 함께 해주세요.
후원하기
목표
단절된 한강의 자연성을 회복하고, 서울 곳곳 실핏줄처럼 연결된 하천을 복원하여,
생명이 흐르고 다앙한 생물이 깃드는 한강으로 되살아 나도록 노력합니다.
첫 번째 문제점
도시와와 고밀도 개발로 물길은 막혔고 땅에는 물이 스미지 않게 되었습니다. 물순환이 왜곡된 서울에 홍수, 폭우, 폭염 등 기후 재난은 더욱 위협적입니다.
두 번째 문제점
콘크리트 호안 건설로 숲과 하천의 연결이 끊어졌고, 신곡수중보와 잠실수중보는 서울의 동서를 흐르는 한강을 단절했습니다.
세 번째 문제점
서울 곳곳 실핏줄처럼 연결된 하천은 대부분 복개되거나 고가도로로 활용되어, 생명이 숨 쉬지 못하는 곳이 되었습니다.
네 번째 문제점
하천 및 강변에 체육시설과 자전거 도로 등 친수공간을 밀집 조성하면서, 새와 양서·파충류 등 물가에서 살아가는 동·식물 서식지가 상당 부분 훼손되고 있습니다.
요구사항
물이 흘러야 생명이 흐릅니다. 서울 곳곳을 흐르는 30여개의 지천을 복원해 자연성을 회복하여야 합니다.
물순환을 왜곡하는 콘크리트와 아스팔트를 걷어내고 물이 흘러 생명이 넘치는 도시가 되어야 합니다.
활동내용
신곡수중보 철거 등 한강 복원을 위한 다양한 정책 제안 활동, 철새보호구역 등 하천의 보호구역의 생물 서식지 보전을 위한 조사 및 연구활동, 각종 하천 개발사업 및 예산 감시 등의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2009년
한강운하백지화서울행동
2014년
구리친수구역조성사업전면백지화를위한경기서울인천지역공동대책위원회
2015년
한강유역네트워크 사무국 운영
2016년
강천보~신곡보 한강 녹조 수질조사
2018년
신곡수중보 시민모니터링단
2019년
한강신곡수중보철거시민행동 사무국 발족 및 신곡보 철거 촉구 1인시위
2020년
안양천철새보호구역시민조사단
2022년
철새보호구역 시민조사단 운영
2022년
시민과학자 양성과정 운영
성과
2010년
한강르네상스 2단계 사업 백지화
2015년
한강유역네트워크 발족
2017년
5대강유역협의회 창립
2018년
여의도 통합선착장 개발 백지화
2018년
서울시 신곡수중보 개방 결정(미이행)
2019년
한강중심의신도시재생전략계획 백지화
2019년
중랑천 마스터플랜 中 도류제 사업 백지화
2019년
구리친수구역 조성사업 중단
2022년
2022 철새보호구역 시민조사단 결과 공유회
생명이 흐르는 한강,
다양한 생물이 깃드는 물순환 도시
서울이 되도록 함께 해주세요.
후원하기
정기후원하고
서울환경연합 회원 되기
정기후원하고
서울환경연합 회원 되기
문의하기
SNS
캠페인 기부
관련 페이지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 2021 Seoul KFEM. All Rights Reserved.
문의하기
© 2021 Seoul KFEM. All Rights Reserved.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