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서울환경연합 2024 시민과학리포트 발행
2024-12-26
[보도자료] 서울환경연합 2024 시민과학리포트 발행
이사장 | 최영식 |
사업자등록번호 | 360-82-00330 |
주소 | (03039)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
대표전화번호 | 02-735-7088, 02-735-7090(회원), 010-2133-7088(플라스틱방앗간) |
후원발신전용 | 010-8272-7087, 010-6526-7087, 010-3296-7087, 010-6847-7088 |
협력/제안 | seoul@kfem.or.kr |
© 2021 Seoul KFEM. All Rights Reserved.
이사장 | 최영식 |
사업자등록번호 | 360-82-00330 |
주소 | (03039)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
대표전화번호 | 02-735-7088, 02-735-7090(회원), 010-2133-7088(플라스틱방앗간) |
후원발신전용 | 010-8691-7086, 010-2681-5560, 010-8272-7087, 010-6526-7087, 010-3296-7087, 010-6847-7088 |
협력/제안 | seoul@kfem.or.kr |
© 2021 Seoul KFEM. All Rights Reserved.
서울환경연합 2024 시민과학리포트 발행
◌ 서울환경연합은 2024년 한 해 동안 진행한 시민과학 활동을 종합하여 「서울환경연합 2024 시민과학 리포트」(총 97쪽, 이하 2024 시민과학리포트)를 발행했다.
◌ 2024년 서울환경연합은 △철새보호구역 시민조사단 활동을 진행하며 한강 자연성 회복의 목표종인 큰고니가 두모포에 도래한 것을 확인하고 한강버스 선착장 예정지 위치를 변경시킨 바 있고 △가로수 시민조사단과 서울 도심 20만㎡의 가로수 608그루를 전수조사하여 건물 에너지 및 탄소배출 감소 효과를 포함한 생태적·경제적 가치평가를 진행한 바 있다. △서울 가로수 지의류 찾기 활동을 통해서는 일부 벚나무를 제외하면 도시 가로수에는 지의류가 없다는 편견과 달리 은행나무, 느티나무, 회화나무, 이팝나무 등 다양한 도시 가로수에 지의류가 깃들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야생벌 시민조사단 ‘유니벌스’ 활동을 통해 수분매개자 관찰기록 256건을 만들고, 3년간의 활동 결과를 바탕으로 서울시의 꿀벌에 위험한 농약 사용 금지 결정을 끌어낸 바 있다.
◌ 서울환경연합은 앞으로도 꾸준히 시민과학 활동에 대한 리포트를 발행할 예정이다. 2025년에도 서울 도심 가로수와 야생벌, 철새보호구역 등 다양한 시민과학 활동을 진행한다.
◌ 2024 시민과학리포트는 서울환경연합 누리집(seoulkfem.or.kr)에서 누구나 내려받을 수 있다.
2024.12.26
서울환경연합
이사장 최영식
사무처장 이동이
2024 시민과학 리포트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