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강버스, 더 늦기전에 중단하라
◌ 2월 27일, 한강버스 선박 2척이 한강에 도착했다. 서울시는 "국내 최초로 친환경 수상대중교통시대의 서막을 열었다" 자평하고 있지만, 한강버스는 '친환경'도, '대중교통'도 아니다. 한강버스 사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
◌ 한강버스는 한강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며, 막대한 적자를 남길 것이다. 신규 선박 12척 도입과 무리한 준설사업은 한강 생태계를 교란하고 서식하는 새들을 쫓아낼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기·하이브리드 추진체를 적용해 탄소배출이 적다는 이유만으로 "친환경"이라고 주장하는 건 궤변이다.
◌ 날씨의 변화가 큰 한강에서 하루 최대 68회 운항하며 한강 교량을 1,156회 통과해야 하는 한강버스의 안전성을 3개월 남짓한 시범운항으로 담보할 수 있다는 주장도 신뢰할 수 없다. 또한, 한강버스 타당성 보고서에서 2025년 기준 교통편익 항목이 연간 5억4,200만원에 이른다는 주장 역시, 애초에 수요의 87%가 승용차 이용자에서 전환될 것이라는 공상적 추정을 전제로 하고 있어 객관성이 부족하다.
◌ 서울시의 기대와 달리 한강버스는 대중교통으로도 기능할 수 없다. 버스나 지하철보다 경쟁력이 떨어지는 한강버스가 "대중교통으로 성공할 수 있다"는 서울시의 주장은 시민을 기만하는 것이다. '출퇴근시간 교통체증 해소'가 목적이었다면, 버스와 지하철 지원 확대 및 도심 내 자가용 수요 억제를 통해서도 해결할 수 있었다. 아무리 기후교통카드를 적용하고 환승시스템을 도입해 대중교통의 탈을 씌우더라도, 한강버스의 본질이 '오세훈표 한강개발'과 연결된 관광유람선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 서울환경연합이 지난해 한강버스 사업의 타당성에 대한 공익감사청구를 진행한 이후, 국회에서도 한강버스 사업 의혹에 대한 감사요구안이 통과되며 감사원의 감사가 시작됐다. 감사원이 2011년 한강 르네상스 사업을 검토하며 세웠던 기준대로만 감사를 진행해도 한강버스 사업의 문제점은 만천하에 드러나게 된다.
◌ 오세훈 시장과 서울시는 한강버스 사업을 두고 섣부른 자축을 할 여유가 남아 있는가. 공공성을 난도질해온 삿된 욕망이 밝혀져 망신을 당하고 싶지 않다면, 지금이라도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 더 늦기 전에 한강버스 사업을 중단하라.
2025. 2. 28.
서울환경연합
이사장 최영식
사무처장 이동이
young08@kfem.or.kr
한강버스, 더 늦기전에 중단하라
◌ 2월 27일, 한강버스 선박 2척이 한강에 도착했다. 서울시는 "국내 최초로 친환경 수상대중교통시대의 서막을 열었다" 자평하고 있지만, 한강버스는 '친환경'도, '대중교통'도 아니다. 한강버스 사업을 즉각 중단할 것을 촉구한다.
◌ 한강버스는 한강의 생태계를 파괴하고, 시민들의 안전을 위협하며, 막대한 적자를 남길 것이다. 신규 선박 12척 도입과 무리한 준설사업은 한강 생태계를 교란하고 서식하는 새들을 쫓아낼 것이 분명하다. 이러한 상황에서 전기·하이브리드 추진체를 적용해 탄소배출이 적다는 이유만으로 "친환경"이라고 주장하는 건 궤변이다.
◌ 날씨의 변화가 큰 한강에서 하루 최대 68회 운항하며 한강 교량을 1,156회 통과해야 하는 한강버스의 안전성을 3개월 남짓한 시범운항으로 담보할 수 있다는 주장도 신뢰할 수 없다. 또한, 한강버스 타당성 보고서에서 2025년 기준 교통편익 항목이 연간 5억4,200만원에 이른다는 주장 역시, 애초에 수요의 87%가 승용차 이용자에서 전환될 것이라는 공상적 추정을 전제로 하고 있어 객관성이 부족하다.
◌ 서울시의 기대와 달리 한강버스는 대중교통으로도 기능할 수 없다. 버스나 지하철보다 경쟁력이 떨어지는 한강버스가 "대중교통으로 성공할 수 있다"는 서울시의 주장은 시민을 기만하는 것이다. '출퇴근시간 교통체증 해소'가 목적이었다면, 버스와 지하철 지원 확대 및 도심 내 자가용 수요 억제를 통해서도 해결할 수 있었다. 아무리 기후교통카드를 적용하고 환승시스템을 도입해 대중교통의 탈을 씌우더라도, 한강버스의 본질이 '오세훈표 한강개발'과 연결된 관광유람선이라는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 서울환경연합이 지난해 한강버스 사업의 타당성에 대한 공익감사청구를 진행한 이후, 국회에서도 한강버스 사업 의혹에 대한 감사요구안이 통과되며 감사원의 감사가 시작됐다. 감사원이 2011년 한강 르네상스 사업을 검토하며 세웠던 기준대로만 감사를 진행해도 한강버스 사업의 문제점은 만천하에 드러나게 된다.
◌ 오세훈 시장과 서울시는 한강버스 사업을 두고 섣부른 자축을 할 여유가 남아 있는가. 공공성을 난도질해온 삿된 욕망이 밝혀져 망신을 당하고 싶지 않다면, 지금이라도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것이 마땅할 것이다.
◌ 더 늦기 전에 한강버스 사업을 중단하라.
2025. 2. 28.
서울환경연합
이사장 최영식
사무처장 이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