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료실][포럼]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전망과 과제 :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2024-04-09



[포럼]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전망과 과제 : 어떻게 대응할 것인가?

자료집 다운받기


'플라스틱 오염 종식을 위한 법적구속력 있는 국제협약’ 에 대해 들어보셨나요? 

플라스틱 전주기를 다루며, 파리협정 이후 가장 큰 국제적 기후 합의일 것이라고 기대받고 있는 이 협약은 

다가오는 4월에서 캐나다 오타와에서 진행되는 4차 회담, 11월에 부산에서 진행되는 5차 회담을 거쳐 체결될 예정입니다. 


이처럼 마지막 회담을 부산에서 진행한다는 소식에 

국제사회는 '드디어 한국 정부가 플라스틱 감축을 위한 큰 역할을 하는가?'하고 뜨거운 관심을 보내고 있는데요.  

대한민국 내 현실은.. 플라스틱 생산 감축보다는 열분해, 화학적 재활용 중심의 해결책으로 산업계를 대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이번 협약을 통해 플라스틱으로 인한 환경문제를 해결하고, 

끝내 오염을 종식시킬 수 있을지, 우리가 나아가야 할 방향은 무엇이며,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전망과 주요 쟁점들을 함께 살펴보는 자리를 마련해보았습니다.

플라스틱의 생산부터 감량, 산업, 관리, 오염, 쟁점까지 다양한 주제들을 다룰 예정이니 모두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일시 : 4월 9일(화) 오전 10:00~16:00

🌳온라인 : 서울환경연합 유튜브 라이브 (https://www.youtube.com/seoulkfem)

*공간의 문제로 현장참여는 받지 않고, 유튜브로만 공개되는 점, 참고 부탁드립니다.


[포럼] 

🟤사회 : 고금숙 (알맹상점 캠페이너) 

🟢기조발제 : 10:20~12:30

1. 플라스틱 국제협약의 전체적인 전망

/ 이세미 (BFFP 글로벌 정책 고문)


2. 플라스틱 오염 국제협약 INC 협상 동향 및 주요국 입장

/ 최재연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제환경협력센터 선임연구원)


🟣세부 발제 : 산업과 관리 13:30~14:30

1. 플라스틱 국제협약 : 감량 쟁점 및 전망

/ 홍수열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 


2. 플라스틱 협약 성안에 따른 국내 산업계의 영향과 대응방안

/ 양순정 (한국플라스틱산업협동조합 상무)


3. 1회용품 감량 및 쓰레기 회수 방안

/ 손세라 (Reloop 연구원)


🟡세부 발제 : 플라스틱 오염과 쟁점 15:00~16:00

4. 플라스틱과 유해물질 

/ 김원 (노동환경건강연구소 화학물질센터 실장)


5. 글로벌 플라스틱 오염 협약의 출발점 : 해양 및 미세 플라스틱의 역할

/ 이유나 (동아시아바다공동체 오션 국제협력팀장)


6. 플라스틱 순환성의 한계와 폐플라스틱 열분해의 문제점

/ 문도운 (GAIA 정책연구원) 



🧡주관 : 녹색연합, 서울환경연합, 알맹상점, 여성환경연대, 환경운동연합

💚주최 : 플뿌리 연대 ('플'라스틱 문제를 '뿌리'뽑는 '연대')

그린피스, 기후변화센터, 노동환경건강연구소, 녹색연합, 동아시아바다공동체오션, 발암물질없는사회만들기국민행동, 서울환경연합, 알맹상점, 여성환경연대, 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자원순환사회연대, 환경운동연합, RELOOP


🌳문의 : 02-735-7088 서울환경연합 박정음


© 2021 Seoul KFEM.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