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5-24
이사장 | 최영식 |
사업자등록번호 | 360-82-00330 |
주소 | (03039)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
대표전화번호 | 02-735-7088, 02-735-7090(회원), 010-2133-7088(플라스틱방앗간) |
후원발신전용 | 010-8272-7087, 010-6526-7087, 010-3296-7087, 010-6847-7088 |
협력/제안 | seoul@kfem.or.kr |
© 2021 Seoul KFEM. All Rights Reserved.
이사장 | 최영식 |
사업자등록번호 | 360-82-00330 |
주소 | (03039) 서울시 종로구 필운대로 23 |
대표전화번호 | 02-735-7088, 02-735-7090(회원), 010-2133-7088(플라스틱방앗간) |
후원발신전용 | 010-8691-7086, 010-2681-5560, 010-8272-7087, 010-6526-7087, 010-3296-7087, 010-6847-7088 |
협력/제안 | seoul@kfem.or.kr |
© 2021 Seoul KFEM. All Rights Reserved.
🎉서울시, 꿀벌 독성 농약 전면 금지하다!🎉
세계 벌의 날이었던 5월 20일, 서울시에서 반가운 소식을 공표했습니다. 앞으로 꿀벌에 독성있는 네오니코티노이드계 농약을 “전면 금지”하며, 나무주사도 사용하지 않겠다고 했어요. 우리는 서울시의 진전된 결정에 박수를 보냅니다.👏👏👏
서울시의 결정은 서울시 내 각 자치구는 물론 전국 지자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중요해요. 앞으로 국내 모든 도시와 숲에서 네오니코티노이드 농약을 한 방울도 찾아볼 수 없게 되길 바랍니다.
그러기 위해서 산림청과 농림축산식품부, 그리고 환경부 등 정부의 결단이 중요합니다.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에 따라 여전히 산림청은 무인항공기로 고위험 농약을 광범위하게 살포하고 있어요.
또한 환경부가 주도해서 수립한 ‘제5차 국가생물다양성 전략’에는 구체적인 살충제 감축 목표 없이 농약의 적정 사용을 유도한다는 수준으로반 반영되어 있죠. 유엔에서는 2030년까지 농약 등 유해화학물질 위험을 50% 줄이자고 약속했는데, 환경부는 국제적 목표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는 것이에요.
서울환경연합은 「서울 공원·가로수·궁궐 일대 고독성·고위험 농약 남용 실태 보고서」 발간을 시작으로, 꿀벌과 야생벌을 포함한 모든 수분매개자를 보호하는 정책을 수립할 것을 서울시에 지속적으로 요구해 왔어요. 그리고 앞으로도 공공녹지 살충제 남용을 감시하고, 모든 수분매개자를 보호하기 위한 시민 모니터링 활동을 이어가려 합니다.
서울시의 결정을 함께 축하해주시고, 앞으로도 서울환경연합의 벌 보호활동에 많은 관심과 응원을 보내주세요🙌